안녕하세요, 컴퓨터를 다루다 보면 가끔 명령 프롬프트(Command Prompt)를 사용할 일이 생기곤 하죠. 처음엔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, 몇 가지 기본 명령어만 익혀둬도 업무나 개인적인 작업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자주 쓰이는 CMD 명령어들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 간단한 파일 관리부터 네트워크 점검, 시스템 설정까지 다양한 기능을 쉽게 익혀볼 수 있도록 준비했어요.
1. CMD란 무엇이며, 왜 사용할까?
CMD(명령 프롬프트)의 정의
CMD(Command Prompt)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명령 줄 인터페이스입니다.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(GUI)와는 다르게,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입니다.
CMD는 기본적으로 MS-DOS(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체제) 기반의 시스템 명령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합니다. 하지만 DOS가 사라진 이후에도 Windows의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거나, 특정 기능을 실행할 때 필수적인 도구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요.
CMD를 사용하는 이유
많은 사용자들이 GUI(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)를 통해 파일을 탐색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익숙합니다. 하지만 CMD를 사용하면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.
🔹 빠른 작업 수행 – 폴더 이동, 파일 삭제, 복사 등 여러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요. 🔹 고급 시스템 제어 – 네트워크 설정, 프로세스 관리, 시스템 검사 등 다양한 기능을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. 🔹 스크립트 활용 가능 – 배치 파일(.bat)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요. 🔹 GUI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해결 – 특정 오류 수정, 네트워크 연결 확인 등 GUI에서는 불가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MD 실행 방법
CMD를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!
1️⃣ [시작 메뉴] → [검색] → "cmd" 입력 후 실행 2️⃣ "Win + R" 단축키 → "cmd" 입력 후 엔터 3️⃣ 파일 탐색기에서 cmd.exe 실행 (C:\Windows\System32\cmd.exe) 4️⃣ Shift + 우클릭 후 "여기에서 명령 창 열기" 선택 (특정 폴더에서 바로 실행 가능)
2. CMD의 기본 명령어와 활용법
파일 및 폴더 관리 명령어
CMD에서는 파일과 폴더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. 기본적인 관리부터 고급 기능까지 함께 살펴볼까요?
🔹 dir – 현재 폴더의 파일 및 하위 폴더 목록을 표시
- 사용법: dir [경로]
- 예시: dir C:\Users\Documents → 해당 폴더의 파일 목록을 확인
🔹 cd – 폴더 이동 (Change Directory)
- 사용법: cd [폴더명]
- 예시: cd C:\Windows\System32 → 해당 폴더로 이동
- cd.. 를 입력하면 한 단계 상위 폴더로 이동 가능
🔹 mkdir 또는 md – 새 폴더 생성
- 사용법: mkdir [폴더명] 또는 md [폴더명]
- 예시: mkdir NewFolder → 현재 위치에 'NewFolder' 생성
🔹 rmdir – 폴더 삭제
- 사용법: rmdir [폴더명]
- 예시: rmdir OldFolder /s /q → 'OldFolder' 폴더를 삭제 (/s 하위 폴더 포함, /q 삭제 확인 생략)
🔹 del – 파일 삭제
- 사용법: del [파일명]
- 예시: del myfile.txt → 'myfile.txt' 삭제
- del *.* → 현재 폴더 내 모든 파일 삭제 (주의 필요!)
🔹 copy – 파일 복사
- 사용법: copy [원본파일] [대상위치]
- 예시: copy C:\data.txt D:\backup\ → 'data.txt' 파일을 'backup' 폴더로 복사
🔹 move – 파일 이동
- 사용법: move [원본파일] [대상위치]
- 예시: move C:\report.docx D:\archive\ → 'report.docx' 파일을 'archive' 폴더로 이동
네트워크 및 인터넷 관련 명령어
CMD를 활용하면 간단한 네트워크 점검도 가능합니다.
🔹 ipconfig – 현재 네트워크 설정 확인
- 사용법: ipconfig /all → 모든 네트워크 설정 출력
🔹 ping – 특정 서버와 연결 확인
- 사용법: ping [주소]
- 예시: ping google.com → 구글 서버 응답 속도를 확인
🔹 tracert – 네트워크 경로 추적
- 사용법: tracert [주소]
- 예시: tracert google.com → 구글까지 연결되는 경로 표시
🔹 netstat – 네트워크 연결 상태 및 포트 확인
- 사용법: netstat -an → 현재 연결된 포트 정보 출력
시스템 정보 및 관리 명령어
CMD를 사용하면 컴퓨터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.
🔹 systeminfo – 시스템 정보 출력
- 사용법: systeminfo → 운영체제 버전, CPU 정보, 메모리 상태 등 확인
🔹 tasklist –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 확인
- 사용법: tasklist → 실행 중인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 표시
🔹 taskkill – 특정 프로세스 강제 종료
- 사용법: taskkill /F /PID [프로세스 ID]
- 예시: taskkill /F /PID 1234 → 해당 프로세스 종료
🔹 shutdown – 컴퓨터 종료 및 재부팅
- 사용법: shutdown /s /t [초] → 일정 시간 후 종료
- 예시: shutdown /r /t 10 → 10초 후 재부팅
🔹 sfc /scannow –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
- 사용법: sfc /scannow → 손상된 시스템 파일 검사 및 자동 복구
3. CMD를 활용한 고급 기능과 팁
CMD는 단순한 파일 관리뿐만 아니라, 보다 깊이 있는 시스템 설정 및 자동화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에는 고급 기능을 알아보면서 CMD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볼게요!
1️⃣ 환경 변수 설정 및 활용
환경 변수(Environment Variables)는 시스템과 사용자 프로그램이 정보를 공유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CMD를 통해 환경 변수를 직접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.
🔹 echo %PATH% – 현재 시스템의 PATH 변수 확인
- 프로그램 실행 경로를 저장하는 중요한 환경 변수입니다.
- 사용법: echo %PATH% → 현재 등록된 실행 경로 목록 출력
🔹 set – 환경 변수 설정
- 사용법: set [변수명]=[값]
- 예시: set MY_VARIABLE=HelloWorld → 사용자 환경 변수 생성
🔹 setx – 영구적인 환경 변수 저장
- set 명령어는 CMD 창을 닫으면 사라지지만, setx는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.
- 예시: setx PATH "C:\NewPath;%PATH%" → 기존 PATH에 새로운 경로 추가
2️⃣ 배치 파일(.bat) 활용 – 반복 작업 자동화
배치 파일은 CMD에서 실행할 명령어들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파일입니다. 이를 활용하면 여러 명령어를 한 번에 실행할 수 있어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어요!
🔹 배치 파일 생성하기
- 메모장을 열어 .bat 파일을 작성 후 저장하면 됩니다.
- 예제:
-
@echo off echo 시스템 정보를 불러오는 중... systeminfo pause
- bat
- 위 파일을 system_info.bat로 저장한 후 실행하면 시스템 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🔹 배치 파일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방법
- Windows의 작업 스케줄러(Task Scheduler) 를 이용해 특정 시간마다 실행 가능
- 사용법: schtasks /create /tn "DailyTask" /tr "C:\script.bat" /sc daily /st 09:00
-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매일 오전 9시에 script.bat이 실행됩니다.
3️⃣ 레지스트리 설정 변경
CMD에서는 Windows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레지스트리 수정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중히 다뤄야 합니다!
🔹 reg query – 레지스트리 값 조회
- 사용법: reg query HKLM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
- Windows의 현재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.
🔹 reg add – 새로운 레지스트리 값 추가
- 사용법: reg add [키] /v [값이름] /t [값 유형] /d [데이터] /f
- 예시: reg add HKLM\Software\MyApp /v Setting /t REG_SZ /d "Enabled" /f → "Enabled" 값을 추가
🔹 reg delete – 레지스트리 값 삭제
- 사용법: reg delete [키] /v [값이름] /f
- 예시: reg delete HKLM\Software\MyApp /v Setting /f → 해당 레지스트리 값 삭제
4️⃣ 시스템 최적화 및 문제 해결
CMD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거나,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합니다.
🔹 디스크 검사 및 복구 (chkdsk)
- 사용법: chkdsk C: /f /r → C 드라이브의 오류 검사 및 복구
🔹 Windows 업데이트 관리 (wuauclt)
- 사용법: wuauclt /detectnow → Windows 업데이트 확인
🔹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(wmic)
- 사용법: wmic process where name="notepad.exe" CALL setpriority 128
- 실행 중인 특정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성능 향상 가능
마무리하며
지금까지 CMD를 활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부터 고급 기능까지 폭넓게 살펴보았습니다! 처음 CMD를 접할 때는 어려울 수도 있지만, 조금씩 익혀가다 보면 GUI보다 더 강력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.
특히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, 시스템 최적화를 직접 수행할 때 CMD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요.